반응형
2025년 현재, 자폐성 장애와 아스퍼거 증후군은 ‘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’라는 범주 안에 포함되어 진단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여전히 많은 부모님과 보호자들이 두 진단의 차이를 혼동하곤 하죠.
1️⃣ 자폐와 아스퍼거의 핵심 차이 요약
항목 | 자폐성 장애 (Autism) | 아스퍼거 증후군 (Asperger's) |
---|---|---|
진단 분류 | 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 내 중~중증 | 현재는 ASD 경도 범주로 통합됨 |
지능 수준 | 지능 저하 포함 가능 | 지능은 평균 이상 |
언어 발달 | 언어 지연 흔함 | 언어 발달 정상, 표현은 어색할 수 있음 |
사회성 | 사회적 교류 매우 어려움 | 관계 맺으려 하나 서툼 |
감각 반응 | 소리·빛 등 과민 반응 있음 | 특정 감각 민감성 있음 |
특징적 행동 | 반복적 행동, 제한된 관심사 | 좁은 관심 주제 과몰입 경향 |
2️⃣ 현재 진단 기준에서는 이렇게 분류됩니다
- 2013년 DSM-5 개정 이후, 아스퍼거 증후군은 독립된 진단명이 아닌 ASD의 경도 범주로 통합되었습니다.
- 즉, 현재는 모두 자폐 스펙트럼 장애(ASD)로 진단됩니다.
- 과거의 아스퍼거는 언어 지연 없이 사회성에만 어려움을 보였던 고기능 자폐의 일종으로 간주됩니다.
3️⃣ 실제 부모 입장에서 본 차이
사례 항목 | 자폐성 장애 | 아스퍼거 증후군 |
---|---|---|
대화 반응 | 무반응, 반복어 사용 | 답은 하지만 주제 벗어남 |
놀이 방식 | 같은 장난감 반복 | 지하철, 공룡 등 특정 분야 몰입 |
사회적 관계 | 또래와 교류 거의 없음 | 관심은 있으나 접근이 서툴다 |
감정 표현 | 표정 없음, 포옹 싫어함 | 표현은 하나 상대 감정 이해 어려움 |
4️⃣ 정리: 같은 스펙트럼, 다른 특성
자폐와 아스퍼거는 모두 ASD의 한 범주로, 진단명은 달라도 치료 방향은 비슷합니다.
가장 중요한 점은 조기 발견과 개입이며, 진단 결과에 따라 정부 바우처나 지원 제도도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.
📌 연관글 추천
반응형
'질병별 지원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희귀난치성질환 종류 및 정부 지원제도, 꼭 확인하세요! (0) | 2025.06.29 |
---|---|
암환자 정부지원금 및 제도,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! (0) | 2025.06.29 |
당뇨 환자 정부지원금 정리 (2025년 최신) (1) | 2025.06.29 |
발달재활서비스 신청방법과 바우처 구성 (2025년 최신) (0) | 2025.06.29 |
2025년 자폐 진단 시,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 총정리 (3) | 2025.06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