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주거안정 월세장학금, 내가 받을 수 있을까? 이 글에서는 나이, 소득, 거주지 거리, 학점 등 신청 조건과 준비서류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소개
집에서 멀리 떨어진 대학에 다니며 월세 걱정이 크신가요?
“주거안정 월세장학금”은 매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로, 자취생과 저소득 청년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. 아래 내용을 통해 내가 받을 수 있는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.
1. 지원 자격은 어떻게 될까?
- 국적 및 재학 상태: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내 대학 재학 중인 학부생 (대학원생 제외)
- 나이 및 혼인 여부: 2025년 1월 1일 기준 만 40세 미만, 미혼자만 해당
- 소득 조건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등 소득구간 1~4구간 이하 대상
- 거주지 거리 요건: 부모님 주소지와 본인의 대학이 교통권역이 다르거나, 편도 통학시간이 2~3시간 이상인 경우
- 주거 형태: 본인 명의의 월세 계약이 있어야 하며, 고시원, 원룸, 기숙사 모두 가능 (단, 친척집 거주 제외)
- 성적 요건: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, 평점 70점 이상 (신입생은 예외)
- 부모 동의: 가족관계증명서 기반의 동의 절차 필수
- 중복 수혜 불가: 청년 월세지원, 지자체 주거비 지원 등과 중복 수혜 불가
2. 요약표로 한눈에 보기
항목 | 조건 |
---|---|
국적 및 재학 | 대한민국 국적, 국내 대학 학부생 |
나이 및 혼인여부 | 만 40세 미만, 미혼자 |
소득 수준 |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|
통학 거리 | 부모 주소지와 학교 간 거리권역 다르거나 2~3시간 이상 |
주거 형태 | 본인 명의 임대차 계약 (고시원·원룸·기숙사 등) |
성적 기준 | 직전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+ 70점 이상 (신입생 제외) |
부모 동의 | 필수 (가족관계증명서로 확인) |
중복 수혜 불가 | 다른 정부 주거지원 혜택과는 중복 불가 |
3.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- 월 최대 20만 원 지원, 학기당 6개월 기준
- 연 최대 240만 원까지 지원 가능
- 사용 가능 항목: 월세, 관리비, 전기료, 수도료, 보증금 이자, 주택대출 이자 등
- 방학 중에는 원칙적으로 지급 중단, 계절학기 등록 시 예외 가능
4. 신청은 언제, 어떻게 하나요?
- 신청기간: 2025년 2월 4일 ~ 3월 18일
- 부모 동의 마감: 3월 25일까지 완료
- 신청 방법:
-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(kosaf.go.kr) 또는 모바일 앱 접속
- 통합 장학금 신청에서 “주거안정 월세장학금” 선택
- 임대차 계약서, 가족관계증명서, 학생증, 통학증명 서류 등 업로드
- 부모 동의 온라인 완료
- 기한 내 제출 완료
5. 내가 받을 수 있을까?
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가능성이 높습니다:
- 만 39세 이하 미혼
- 저소득 가정의 원거리 통학생
- 본인 명의로 월세 계약된 거주지
- 필요한 학점과 성적 보유
- 부모 동의 완료
👉 한국장학재단 로그인 후 “자가진단 시스템”으로 미리 자격 확인 가능
결론
“주거안정 월세장학금”은 단순한 월세 보조가 아닙니다. 자취하는 대학생에게는 큰 생활비 절감이자,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
꼼꼼하게 조건을 체크하고, 서류 준비만 잘하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.
신청 준비에 어려움이 있거나 서류가 복잡하신가요? 댓글로 알려주시면 도와드릴게요! 😊
반응형
'정부지원&복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양육수당 지급 기준 및 신청 방법 안내 (0) | 2025.06.20 |
---|---|
2025년 가족돌봄 휴직 제도안내, 신청방법 (0) | 2025.06.19 |
온통청년 200% 활용법, 청년이라면 꼭 해보세요! (1) | 2025.06.19 |
월세 20만원 지원받는 방법, 청년이라면 필독 (1) | 2025.06.19 |
청년월세지원, 2025년 신청방법, 자격 총정리 (0) | 2025.06.19 |